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4절기 양력 음력 변환표와 유래, 순서까지 총정리!

by info_Fact 2025. 7. 12.
반응형

목차

     

    많은 분들이 계절의 흐름을 이해할 때 '24절기'를 기준으로 삼곤 하죠. 하지만 매년 날짜가 달라지기도 하고, 양력과 음력이 다르다 보니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24절기의 유래부터 정확한 순서, 그리고 양력·음력 변환표까지 한 번에 정리해볼게요.

     

    24절기 양력 음력 변환표와 유래, 순서까지 총정리!
    24절기 양력 음력 변환표와 유래, 순서까지 총정리!_썸네일

     

    24절기란 무엇인가요?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계절의 변화를 24단계로 나눈 전통적인 달력입니다. 1년을 12개월로 나누는 음력과 달리, 태양의 위치에 따라 기후 변화를 세분화한 것이 특징이에요. 예를 들어 입춘은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고, 추분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시기입니다. 이처럼 농사나 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줬기 때문에 예부터 중요한 기준으로 삼아왔어요. 특히 절기는 음력 날짜에 고정되지 않고 매년 양력 기준으로 약간씩 달라진다는 점이 핵심이에요. 그래서 매년 24절기 양력 날짜표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24절기의 순서와 의미

    24절기 양력 음력 / 사진출처:픽사베이

    24절기는 크게 봄, 여름, 가을, 겨울 네 계절로 나뉘고, 각 계절마다 6개의 절기가 있습니다. 아래는 절기의 순서와 간략한 의미예요.

    ✔️ 봄 (입춘~곡우)

    • 입춘: 봄의 시작
    • 우수: 비가 자주 내리는 시기
    • 경칩: 동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남
    • 춘분: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짐
    • 청명: 하늘이 맑고 깨끗해지는 시기
    • 곡우: 봄비로 곡식이 잘 자라는 때

    ✔️ 여름 (입하~대서)

    • 입하: 여름의 시작
    • 소만: 만물이 점점 자라남
    • 망종: 씨 뿌리기에 적당한 시기
    • 하지: 1년 중 낮이 가장 긴 날
    • 소서: 본격적인 더위 전
    • 대서: 1년 중 가장 더운 시기

    ✔️ 가을 (입추~상강)

    • 입추: 가을의 시작
    • 처서: 더위가 물러가는 때
    • 백로: 이슬이 맺히기 시작
    • 추분: 밤이 길어지기 시작
    • 한로: 찬 이슬이 내리는 시기
    • 상강: 서리가 내리기 시작

    ✔️ 겨울 (입동~대한)

    • 입동: 겨울의 시작
    • 소설: 첫 눈 소식이 들리는 때
    • 대설: 큰 눈이 오는 시기
    • 동지: 밤이 가장 긴 날
    • 소한: 살짝 추워지는 시기
    • 대한: 1년 중 가장 추운 절기

    24절기 양력·음력 변환표 확인하기

    24절기 양력 음력 / 사진출처:픽사베이

    24절기는 태양력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해마다 날짜가 조금씩 달라져요. 아래는 2025년 기준, 양력 날짜로 정리한 24절기 변환표입니다.

    절기 2025년 날짜 (양력 기준)
    입춘 2월 3일
    우수 2월 18일
    경칩 3월 5일
    춘분 3월 20일
    청명 4월 4일
    곡우 4월 20일
    입하 5월 5일
    소만 5월 21일
    망종 6월 5일
    하지 6월 21일
    소서 7월 7일
    대서 7월 22일
    입추 8월 7일
    처서 8월 23일
    백로 9월 7일
    추분 9월 23일
    한로 10월 8일
    상강 10월 23일
    입동 11월 7일
    소설 11월 22일
    대설 12월 7일
    동지 12월 21일
    소한 2026년 1월 5일
    대한 2026년 1월 20일

    해마다 이 날짜가 1~2일씩 변동되므로, 각 해의 절기표를 미리 확인해두면 좋습니다.

     

    양력과 음력 기준이 달라지는 이유

    24절기 양력 음력 / 사진출처:픽사베이

    24절기는 태양의 위치(절기점)를 기준으로 하므로 음력보다는 양력에 가깝습니다. 음력은 달의 주기를 따라가고, 양력은 태양의 공전 궤도를 기준으로 하죠. 이로 인해 같은 절기라도 해마다 음력 기준으로는 날짜가 크게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입춘은 2025년 양력 2월 3일이지만 음력으로 보면 해마다 12월~1월 사이로 바뀌기도 해요. 따라서 절기를 음력 기준으로 기억하기보다는 양력 기준으로 외우는 것이 실용적입니다.

     

    24절기, 현대에도 필요한 이유

    24절기 양력 음력 / 사진출처:픽사베이

    비록 농경사회가 아니더라도, 절기는 계절 변화와 일상생활을 이해하는 데 여전히 유용해요. 계절성 질환 예방, 음식 섭취, 여행 계획 등에 적용할 수 있거든요. 예를 들어, 소서·대서에는 폭염 대비를, 상강에는 가을 감기 예방을 준비할 수 있어요. 절기를 기억해두면 우리 몸의 변화에도 미리 대비할 수 있답니다.

     

    마무리하며

    24절기는 단순한 옛날 달력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의 리듬을 연결해주는 중요한 문화 유산이에요. 매년 달라지는 양력 날짜를 체크해두고, 계절 흐름에 맞춰 생활을 조절해보는 것도 건강한 삶에 도움이 됩니다. 절기의 의미를 알고 나면, 매년 돌아오는 계절이 더 특별하게 느껴질 거예요.

    함께보면 좋은 글
     

    폭염경보 기준 지역별 정책 및 생활 속 팁

    목차 날씨가 본격적으로 더워지면서 ‘폭염경보’와 ‘폭염주의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여름철 폭염이 강해지면서 건강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 오

    with.infolooking0.com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 조용한 일상을 위한 공공서비스

    목차 층간소음으로 인한 갈등, 누구나 한 번쯤 겪어보셨을 텐데요. 참기엔 스트레스고, 직접 말하자니 부담이 크죠. 이럴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입니다. 이 센

    with.infolooking0.com

     

    위고비 가격 효과 총정리!

    목차 최근 체중 감량 치료제 중에서도 ‘위고비’는 단연 화제의 중심에 있습니다. 2024년 10월 국내 출시 이후 다양한 후기와 정보가 온라인에 넘쳐나고 있는데요. 다이어트를 고민하는 중장년

    with.infolooking0.com